하지 정맥류란?
다리의 혈관에 이상이 생겨서 정맥혈관이 늘어져 다리에 푸르거나 검붉은색 혈관이 꽈리처럼 부풀어 다리 피부를 통해 튀어나오는 일종의 혈관기형이다. 거미줄 같은 실핏줄도 나타난다. 처음에는 장딴지부터 시작해서 점점 위쪽으로 올라가 사타구니부분까지 진행하며 서 있을 때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생기기 쉽고, 장기간 서서 일하는 사람도 위험도가 높다.
주요 원인은 혈액을 다리에서 심장으로 보내는 정맥내 판막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난다. 판막은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혈액이 다시 내려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판막에 문제가 생기면 역류되는 혈액과 올라오는 혈액이 만나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그 압력으로 정맥이 부풀게 된다. 그밖에 유전이나 ·간경화·심장병 등 여러 원인이 있다. 오랫동안 서 있는 경우나 변비가 있는 경우, 이 있는 경우, 임신했을 때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그렇다면 하지 정맥류의 증상은 어떤 것이 있고, 어떠한 치료법이 있는지 알아보자.
하지 정맥류의 증상
증상은 다리에 꼬불꼬불하고 두꺼워진 정맥이 나타나고 통증이 오며 다리가 붓는다. 또 걷거나 오래 서 있을 때 다리가 무겁고 뻐근할 정도로 아프며,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붓고 피부 색깔이 갈색으로 변한다. 아무 증상 없이 혈관만 튀어나오는 경우도 있고, 심한 경우에는 복사뼈 주변 피부에 잘 낫지 않는 궤양이 나타난다.
치료방법
치료방법은 비수술적인 요법과 수술적인 요법이 있다. 비수술적인 요법은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지 않고 자주 걷도록 하며, 다리를 가슴보다 높이 들어서 정맥압을 덜고, 활동하거나 서 있어야 할 때는 탄력붕대를 무릎에서 발까지 적당한 압력으로 감거나 고탄력 스타킹을 착용한다. 또 정맥경화요법을 실시하는데, 이는 정맥 내에 경화제를 삽입하여 정맥을 영구적으로 섬유화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수술요법에 비해 재발이 많고 여러 번 경화제를 투여해야 하며, 치료기간이 너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수술요법은 수술을 통하여 표재성 정맥과 심부정맥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맥의 역류를 차단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이를 교정해 주는 것으로 레이져 시술은 1~2시간에 수술이 완료되고 당일 퇴원할 수 있다.
‣ 레이저 수술
환자의 50%정도는 제몫을 하지 못하는 정맥을 수술로 없애야 한다. 즉 경화요법을 시행하수 없을 정도로 정맥이 커지거나 합병증이 우려될 때는 수술을 해야 한다. 과거에는 전신마취를 한 뒤, 고관절 부위를 절개해 정맥을 모두 적출했기 때문에 다리 곳곳에 보기 싫은 흉터가 남는 것은 물론, 출혈이 크고 정맥을 제거 하는 과정에서도 다른 혈관이나 조직에 상처를 주기 쉬웠다. 또 수술 후, 통증이 심하고 회복기간이 길어 환자 부담이 클뿐더러 만족도 역기 크게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레이저 수술방법은 극소 마취 후 2mm 가량절개한 후 수술 초음파로 원인이 되는 혈관을 찾고 그 다음 주사고 혈관 내에 레이저 광섬유를 위치하게 한 후, 특수 레이저 광선을 쏘아 혈관을 치료한다. 혈관벽에 열을 직접 전달하던 고주파 혈관 폐쇄술과 달리 혈액 헤모글로빈을 통해 열을 전달하므로 손상 부위가 적고 덕분에 피부 화상 정맥엽등의 부작용도 거의 나타나지 않아 환자의 통증도 덜하다.
수술 후 환자는 회복실에서 잠시 머물다 집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수술당일 또는 다음날 바로 일상(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이 빠르다. 특히 하지 정맥류를 치료 받으려는 환자의 80%이상이 미용 상의 이유로 시술을 결정하기 때문에 정맥류 치료의 관건은 흉터를 최소화해 미용적으로 완벽한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레이저 수술은 극소마취로 외애에서 진행하는데 수술에 걸리는 시간은 30분 정도입니다.
다른 곳곳을 절개했던 기존 수술과는 달리 무릎부위의 한군데만을 2mm가량 절개해 다시 꿰맬 필요 없이 의료용테이프를 붙이는 것만으로도 봉합 됩니다. 따라서 흉터가 남지 않는다는 것이 최대 장점입니다. 또, 원인이 되는 부분을 정확히 찾아 근본적인 치료를 하기 때문에 재발율도 1% 이하로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