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공모가·낮은 성장성 합작품
공모가 밑도는 삼성생명 주가 왜?
7월 14일 기준 삼성생명 주가는 9만4800원. 주당 1만5000원 이상 손해다. 더 화가 나는 것은 4% 후반대의 대출금리다. 상장 당시 회사에서 저리로 대출금을 알선해줄 때 금리는 3%였다. 그러나 금리가 계속 올라가면서 A차장 대출금리도 어느덧 4% 후반대로 올라섰다. 앉아서 1000만원 가까운 돈을 이자로 날리고 있는 데다, 3000만원가량 투자 손실을 보고 있으니 밥이 제대로 넘어갈 리 없다.
그중에서도 가장 속이 쓰린 것은 ‘앞으로도 별다른 희망이 없어 보인다’는 사실이다. ‘공모가 자체가 너무 고평가돼 있었다’는 말이라도 나올라치면 소화조차 안 된다. ‘절대 그렇지 않다’고 떠들 힘도 남아있지 않다. 삼성생명 주가가 상장 이후 공모가를 웃돈 것은 공모 이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 단 23거래일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최고가는 공모가보다 고작 5000원 높은 11만5000원이다.
A씨는 요즘 가장 부러운 사람으로 상장 직전이던 지난해 초 회사를 옮긴 동료 B씨를 꼽는다. 상장 당시만 해도 B씨는 간발의 차로 삼성생명 우리사주를 사들일 기회를 놓친 운 없는 사람으로 평가받았지만, 지금은 수렁에 빠질 것을 아슬아슬하게 피한 억세게 운 좋은 사나이로 인식된다.
A씨는 “지금 삼성생명 직원들에게 우리사주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계륵과 같은 존재”라며 한숨을 쉬었다.
우리사주 산 직원들 수천만원 손실
A씨뿐 아니다. 현재 삼성생명 우리사주조합이 갖고 있는 주식은 지난해 말 기준 969만여주로 4.85%에 이른다. 삼성생명은 1999년과 지난해 상장 시 두 차례에 걸쳐 우리사주를 배분했다. 1999년에는 액면가 5000원(현재 액면가 500원)에 나눠줬다. 그나마 그때 조금이라도 받은 직원들은 괜찮다. 1999년 이후에 입사해 이번 상장 때 처음으로 우리사주를 받은 직원들은 혜택은 전혀 없이 손실만 떠안은 셈이다.
2010년 5월 12일 상장한 삼성생명 공모가는 11만원. 희망 공모가 밴드는 9만~11만5000원이었다. 희망 공모가 밴드의 최상단에 위치한 11만원으로 공모가가 결정됐음에도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인 20조원에 육박하는 청약 증거금이 들어왔다. 최종 경쟁률은 40.6 대 1에 달했다. 상장 첫날에는 시가총액 22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금융 대표주인 신한금융지주(당시 20조5566억원)를 제치고 단숨에 시총 4위에 올랐다.
그러나 영광은 단 하루에 불과했다. 이후 주가가 계속 떨어져 7월 14일 현재 삼성생명의 시가총액 순위는 11위까지 내려왔다. 그뿐인가. 지난 1년간 코스피지수가 30% 가까이 오른 것을 고려하면, 삼성생명 주가는 상대적으로 40% 이상 빠졌다는 계산이 나온다. 명색만 ‘금융 대장주’일 뿐 ‘이름값’은 전혀 못 하고 있는 셈이다.
삼성그룹 금융 대표회사면서 은행을 제외한 한국 최대 금융사인 삼성생명이 왜 이렇게 ‘이름값’을 하지 못하는 것일까.
가장 먼저 ‘고평가 논란’이 대두된다. 처음부터 삼성생명 공모가가 높게 평가됐다는 얘기다. 삼성생명 주식 액면가는 500원. 결국 공모가 11만원은 110만원이라는 얘기다. 액면가 5000원짜리인 삼성전자 주가도 83만1000원(7월 14일 기준)이다. 상장 초기 고평가 논란이 거세지면서 ‘연기금이 펀드매니저에게 삼성생명 주식을 편입하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
익명을 요구한 C애널리스트는 “솔직히 ROE로 보면 삼성생명 주가는 말도 안 된다”고 귀띔한다.
ROE(Return On Equity·자기자본이익률)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투입해 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다.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눠 구한다. 투자자들은 ROE를 통해 기업의 사업 경쟁력, 수익 창출력, 주주가치 확대능력, 총괄적인 경영능력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투자자에게 ROE는 은행 예금의 이자나 채권의 수익률 같은 개념이라 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ROE가 10년 연속 10% 이상 나온다면 지금과 같은 저금리 시대에 대단히 좋은 투자 자산이 된다. 일반적으로 ROE가 12%를 넘어야 투자적격 우량기업으로 간주한다. 금융회사는 적어도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은 ROE를 유지해야 하는 게 불문율이다.
2011년 3월 기준(삼성생명은 3월 결산업체) 삼성생명 ROE는 4.26%에 불과하다. 박근희 삼성생명 사장이 상장 1주년을 맞아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ROE 11~13%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다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처럼 ROE가 낮은 것은 덩치에 비해 순익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삼성생명은 2010회계연도 1조933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2009년의 9061억원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보험사 당기순이익이 1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사정이 다르다. 당기순이익이 급증한 것은 투자부문의 일회성 이익이 급증한 때문이다. 서울보증보험 자산유동화증권(ABS)을 상환하면서 대손충당금 4400억원을 돌려받았다.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을 앞두고 4700억원어치의 유가증권을 매각한 것도 순이익에 잡혔다. 결국 보험 관련 이익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순익 낮아 ROE 4% 불과
7월 14일 현재 삼성생명 시가총액은 18조9600억원으로 19조원에 육박한다. 순이익은 1조원가량 된다. 삼성전자를 보자. 같은 날 기준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122조4057억원. 지난해 삼성생명 순이익은 16조1500억원이다. 삼성생명 시가총액은 삼성전자의 6분의 1이지만, 순이익은 삼성전자의 16분의 1에 불과하다. “삼성생명 시가총액이 너무 높은 것 아닌가, 결국 삼성생명 주가가 더 떨어져야 하는 것 아닌가”하는 주장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렇다고 별다른 돌파구도 없다. 한국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에 다다라 더 이상 시장 확대가 어려운 형편이다. 박근희 사장이 신성장동력으로 ‘국외시장 확대’를 내세운 것은 국외시장 말고는 기대할 곳이 별로 없어서다. 그러나 삼성생명의 국외시장 개척에 의문부호를 다는 시선이 농후하다. 금융 부문 베스트 애널리스트인 D애널리스트는 “국내 생 보사가 글로벌 생보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은 거의 NO”라고 했다.
박근희 삼성생명 사장
“금융업 자체가 폐쇄성이 매우 강한 업종이다. 잘 보면 글로벌 금융사로 성장한 기업은 미국, 영국, 네덜란드 금융사 정도에 불과하다. 일본도 못 했고 독일도 도이치방크와 알리안츠 정도를 빼면 전무하다. 한국 금융사가 글로벌 금융사가 된다는 건 논리적으로 가능해 보이지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라는 게 D애널리스트 분석이다. E애널리스트는 “애널리스트로서 삼성생명 주가를 얘기하기 참 곤란하다”고 토로한다.
“장기적으로 보면 그만 한 회사가 없다. 중요한 건 ‘장기적’이라는 단어다. 그렇다면 주가도 장기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건데 여기서 할 말이 없어진다. ‘지금 사서 한 10년 갖고 있으면 좋은 날이 올 것이니 사서 묻어두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